구
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문장에서 명사(명사구), 형용사(형용사구), 부사(부사구) 등의 역할을 함
<명사구>
명사구로 쓰이는 경우 보통 '~것'으로 해석된다.
- I like reading comic books 나는 만화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
→ 명사구로 ing형태가 옴 (동사에 ing가 붙어서 명사구로 쓰이면 '~ 것'으로 해석됨)
- To drive fast is dangerous 빠르게 운전하는 것은 위험하다
→ 명사구로 To부정사 형태가 옴 (To부정사 : 'to + 동사' )
<형용사구>
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의 역할을 한다. '~는'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.
- Look at the girl with a cute puppy 귀여운 강아지와 있는 여자아이를 봐
→ 앞에있는 'girl'을 꾸며주고 있음
- The boy standing there is my brother 저기 서있는 남자아이는 내 형제야
<부사구>
- This water is good to drink 이 물은 마시기에 좋다
→ 부사구에 To부정사 형태가 옴
→ 부사구에서 'to + 동사'는 '~(하)기 위해', '~(하)기에' 등으로 해석된다
- She studies to pass the exam 그녀는 시험에 통과하기 위해 공부한다
절
단어가 모여 문장의 일부를 이루고 '주어 + 동사'가 포함됨
즉, 절 = 문장
문장에서는 주절과 종속절이 있다. 이를 빨리 파악하면 해석이 쉬워진다.
주절이 더 중요한, 결론적인 절이다.
- You are a student and I am a teacher
→ 'You are a student'라는 문장과 'I am a teacher'라는 문장이 and로 연결된 형태
→ 이렇게 두 절의 관계가 동등한 경우 '등위절'이라고 함
- I was late because my car broke down
→ 'I was late'라는 문장과 'my car broke down'이라는 문장이 because로 연결된 형태